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족보부터 볼까요? 조선시대의 왕
    카테고리 없음 2021. 12. 9. 01:11

    안녕하세요 퍼스트 팬 깅입니다한국 역사 많이 알아요?저는 역사시간에 잠을 많이 잤던 기억이... 학창시절에 노래 가사를 외우려고 (TMI) 여기서 잠깐!!!독도 한국땅의 가사도 바뀌었다고 하는데 (울릉도 동남쪽 뱃길에 따라 이백리 팔칠케이) 이백리 = 87km 정확한 가사는 기타 스토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부터 조선시대 역대 왕들의 족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왕 계보(1392-1910) 유교의 민본주의에 따라 근세사회를 연 조선왕조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조선은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27명의 왕이 계승하여 519년간 존속했다고 합니다"조선시대 왕의 명칭과 종, 군의 차이, 그리고 종의 차이를 알기 전에 알아야 할 점왕이 죽은 후에 지은 묘호입니다.네이버 지식인 참고 요즘 신혜성이 등장하는 TVN 철인왕후께서 철종이가 알려주십니다!!왕이 돌아가신 후에 묘호 뒤에 조와 종이 잇는데요.조는 보통 공이 뛰어난 왕에게 붙습니다.이성계(태조)와 같이 나라를 세우거나 선조처럼 변화로부터 백성을 구한 큰 업적을 가진 왕이 조가 된다고 합니다.선조의 경우 제일 먼저 묘호가 선종이었다고 합니다.임진왜란 극복 등에 큰 공을 세웠다고 일부 신하들이 주장하며 조상이 되었다고 합니다.마지막으로 군이라는 칭호는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 공신들에게 주어지는 호칭이었다고 합니다.그러나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 재위기간 동안 국가와 민생에 큰 해를 끼친 폭군에 의해 폐위되어 왕으로 모시지 않고 군대로 내려갔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침과 종의 기준이 불명확하고 모호해 당시 집권세력에 의해 정치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도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조선 시대에 27명의 왕을 세우면 태조-정종-태종~세종 문종-단종-세조 감사 종사-성종-옌산군 중종-인종-선조 광해군-인조-효종-현종-경종-영조-정조-정조-헌종-철종-고종-순종 1대 태조(1392-1398):이성계-조선의 제1대 왕 7대 세조의 차남 9대 성종(1469-1494):7대 세조의 손자 10대 연산군(1494-1506):9대 성종의 장남 11대 중종(1506-1544):9대 성종의 차남 12대 인종(1544-1545):11대 중종의 장남 13대 명종(1545-1567):11대 중종의 차남 14대 선조(1567-1608):11대 성종의 장남 숙종과 장희빈의 아들 21대 영조(1724-1776):19대 숙종과 숙빈 최 씨의 아들 22대 정조(1776-1800):21대 영조의 손자 23대 순수조(1800-1834): 22대 정조의 둘째 아들 24대 헌종(1834-1849): 23대 순조의 손자 25대 철종(1849-1863): 22대 정조의 동생 은언군의 손자 26대 고종(1863): 22대 정조의 손자 26대 고종(1863-1863)

    출처 : 고등학생이 아는 백한국사 스페셜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7명의 묘호를 받은 왕이 있습니다~군으로 강등된 노산군, 연산군, 광해군 이렇게 3명이 존재합니다!군은 일반적으로 폭군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정으로 물러난 왕이 있는가 하면 노산군은 단종으로 복위한 왕이 있기도 합니다.

    사극이나 역사 관련 영화를 보면서 역사책을 읽어야 하는데 대한민국 국민이 역사는 알아야 하는데 목만 마를 뿐 공부는 안 한 것 같아요.블로그를 하게되면서 평소에 알고싶은것들을 이렇게 정리해나가면 역사공부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TV프로그램에 요리프로그램이 많아서 집에서 요리를 따라하기 바쁘지만 역사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아야겠습니다.^^역사는 인간 이성의 힘을 키우는 진보 과정이다. 현대인은 이성의 힘과 기능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하는 데 성공했고, 그로 인해 자기 자신과 사회를 개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E·H·카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Designed by Tistory.